미 정부 논평
"이란 정부, 조직적 여성 탄압 끝내야"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이란 쿠르디스탄 주 출신인 22살 마흐사 아미니는 9월 13일 가족과 함께 테헤란을 방문했습니다.
마흐사는 가족과 함께 지하철을 빠져나오던 중 이른바 '부적절한' 히잡을 쓴 혐의로 테헤란에서 이른바 풍습 경찰에 체포돼 보르자라 구치소로 이송됐습니다.
3일 후 그녀는 뇌사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란 국영 언론은 아미니가 심장 마비를 일으켰다고 주장했지만 그녀의 가족은 아미니가 완벽한 건강 상태였다고 말했습니다.
하디 가에미 이란 인권 사무총장은 "아미니는 국가의 강제 히잡법을 위반 혐의로 체포됐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란 정부는 이 차별적이고 비인도적인 법을 가장하여 그녀의 죽음과 여성들을 수십 년 동안 괴롭히고 구금, 그리고 다른 피해에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란의 수도 테헤란과 쿠르디스탄 주를 포함한 이란 전역의 수많은 도시에서 아미니 사망에 항의하는 시위가 발생했습니다.
이란 당국은 평화적인 시위를 강경 진압했습니다. 이란의 인권 운동가 통신은 시위 상황에서 적어도 54명이 사망했다고 확인했습니다.
미국과 유럽연합 그리고 유엔은 아미니가 경찰 구금 중 사망한 것을 비난했습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트위터에 성명을 내고 "마하 아미니는 오늘 살아있어야 한다”며 “대신 미국과 이란 국민들은 그녀를 애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블링컨 장관은 “ 우리는 이란 정부가 여성에 대한 조직적인 탄압을 끝내고 평화적인 시위를 허용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기자회견에서 "아미니의 죽음은 단순히 기본권을 행사하려는 여성이 이런 식으로 죽을 수 있다는 정권의 억압과 잔혹성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가 이란에서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나와서 이는 자신들이 살고 싶어하는 사회가 아니라고 강력하게 반대하는 것을 보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번 사태는 "세계선언에 따른 어떤 국가의 의무와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미국은 이같은 사태에 격렬하고 명백하게 반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See all News Updates of the Day
'핵실험금지조약' 다음 단계 돌입해야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지금으로부터 60년 전인 1963년 9월 10일, 제한적 핵실험 금지 조약이 발효되었습니다.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이라고도 알려진 이 조약은 공중, 육상, 수중에서의 핵무기 실험을 금지했습니다.
이 조약은 핵실험장 이외의 국경을 넘어서는 핵 낙진을 상당히 감소시켰습니다. 33년 후, 186개국이 모든 핵실험을 금지하는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에 서명했습니다.
보니 젠킨스 미 국무부 군비통제, 국제안보 차관은 유엔총회에서 “1963년 제한적 실험 금지 조약의 큰 영향과 이 조약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모든 환경에서 모든 당사국들에 의한 모든 핵무기 실험 폭발에 대한 전 세계적이고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금지의 목표는 여전히 모호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필수적인 마지막 단계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라고 말했습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은 상당히 성공적입니다. 핵실험이 금지된 만큼, 각 국은 새로운 탄두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8개 국가들은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를 비준하지 못했고, 조약 준수는 자발적인 의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ACT 1: 0:29] “For more than thirty years, the United States has not conducted a nuclear explosive test, and we
젠킨스 차관은 “30년 이상 미국은 핵폭발 실험을 하지 않았으며 우리는 그럴 계획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1996년 9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CTBT) 서명을 위해 개방되었을 때 가장 먼저 서명했다”고 말했습니다.이어 “그후 미국은 핵폭발 실험에 대해 무수율(zero-yield )모라토리엄을 유지하고 있으며, 핵무기를 보유한 모든 국가에 모라토리엄을 선언하거나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젠킨스 차관은 "이러한 자발적인 모라토리엄은 핵폭발 실험에 대한 국제적 규범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우리는 또 강력한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이 제공하는 법적 구속력 있는 금지를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며 “그러한 금지는 모든 국가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했습니다.
[ACT 2: 0:20] “A legally binding ban on nuclear explosive testing remains an international priority. The NPT Parties
젠킨스 차관은 “핵실험에 대한 법적 구속력 있는 금지는 여전히 국제적 목표”라며 “핵확산금지조약(NPT) 당사국들은 모든 환경에서 이러한 모든 핵실험을 금지하는 것이 핵무기 없는 세계로 가는 길에 중요하고 필요한 조치라는 것을 다시 한번 인식했다”고 말했습니다.
젠킨스 차관은 “오늘날 우리가 처한 어려운 국제 안보 상황에도 불구하고 모든 국가는 핵무기 없는 세계로 가는 길에 중요한 이정표로서 핵 실험에 대한 세계적이고 법적인 구속력이 있는 금지라는 목표에 다시 전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중국, 티베트 문화 말살 시도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미 국무부는 정부가 운영하는 기숙학교에서 100만 명 이상의 티베트 어린이들을 강제 동화시키는 데 관여한 중화인민공화국, 즉, 중국 관리들에게 비자 제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성명을 통해 밝혔습니다.
올해 초, 유엔의 전문가 패널은 “티베트 어린이들을 위한 주거 학교 시스템은 국제 인권 기준과 달리 티베트인들을 한 문화에 동화시키기 위한 의무적인 대규모 프로그램으로 보인다”며 깊은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유엔 전문가들은 시골 학교들이 폐쇄된 후, 대부분의 티베트 아이들이 가족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기숙 학교에 다녀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티베트 학생들은 자신들의 전통이나 문화에 접근할 수없고 중국 표준어인 만다린 중국어로 된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만 합니다.
블링컨 “이같은 강압적인 정책은 젊은 세대의 티베트인들 사이에서 티베트의 독특한 언어, 문화, 종교적 전통을 말살하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티베트의 인권 상황에 대한 미 국무부의 가장 최근 보고서는 몇몇 티베트 거주 지역의 부모들도 “아이들에게 중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중국어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티베트 부모들이 이런 훈련을 받는 것은 이런 중국의 교육을 통해 참가자들의 “생각”을 개혁하는 것입니다.
블링컨 장관은 “우리는 중국 당국이 티베트 어린이들이 정부가 운영하는 기숙학교에 강제로 입학시키는 것을 중단하고 티베트와 중화인민공화국의 다른 지역에서 억압적인 동화 정책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러한 행동을 강조하고 책임을 증진하기 위해 동맹국과 파트너들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티베트 주민들의 인권이 존중되어야 하며 독특한 문화적, 언어적, 종교적 전통이 보존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미국은 티베트 사람들과 함께 할 것입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시리아의 평화를 위한 시간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시리아 내전이 일어난 지 12년이 넘도록 사람들은 공습, 미사일 공격, 고문과 구금, 인도적 지원 거부 등을 계속 겪고 있습니다.
시리아 국민들은 평화를 위한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최근에 시리아인들이 정치적 변화를 요구하고 모든 정당들이 시리아의 휴전과 정치적 해결을 요구하는 유엔 결의안 2254호를 지지할 것을 요구하는 평화적인 시위가 다라와 알 수웨이다와 같은 도시에서 있었습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시리아 분쟁은 시리아 여성들에게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ACT 1 0:23] “Pre-existing gender inequalities, discriminatory laws, and social injustices exacerbate the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기존의 성 불평등, 차별적 법, 사회적 불평등은 여성이 직면한 상황을 악화시킨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시리아 분쟁의 모든 당사자들에게 여성에 대한 제한 조치를 끝내고 교육, 법적 권리, 민사상 문서 그리고 재산 기록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허용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또 시리아 어린이들과 실향민들이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ACT 2 0:27] “Across the country, millions of children remain out of school, putting them at high risk of child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전국적으로 수백만 명의 아이들이 학교를 떠나 아동 노동, 조혼 그리고 강제 결혼의 상황에 놓여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결론은 다음과 같다”며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 실향민들이 안전하게 돌아올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시리아인들은 군대에 징집되어 부당하게 구금되고 고문당하고 실종될 위험이 있는 한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토머스 그린필드 대사는 분쟁 당사자들에게 임의로 구금된 사람들을 석방하고, 인권단체들이 구금시설과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실종자들에 대한 정보를 가족들과 공유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유엔은 적어도 15만5천명의 실종자와 부당하게 구금된 시리아인들이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러시아는 시리아의 정치적 진보를 계속 방해하고 있다”며 “게다가 아사드 정권이 광범위한 정치적 전환 계획과 시리아 국민들이 직면한 끔찍한 문제에 대해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국민들에 대한 정부의 경멸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아사드 정권이 주민들을 탄압하는 것에 대해 계속 책임을 묻을 것입니다. 또 인권 탄압에 책임있는 사람들을 제재할 것입니다. 또 미국의 제재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진전이 있을 때까지 계속될 것입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시리아 사람들은 우리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시리아 사람들은 평화, 안보, 정의를 받을 자격이 있다”며 “우리는 그들이 어려움을 겪을때 계속 그들과 함께 서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버마의 무자비한 폭력 사태 규탄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2021년 2월 1일 버마 군은 총선거에서 크게 패하자 쿠데타를 일으켜 선출된 민간 지도자들을 체포했습니다. 그러자 버마라고도 알려진 미얀마 사람들은 이에 반발해 평화적 시위를 벌였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미국을 포함한 13개 회원국은 공동성명에서 “지난 몇 달간 미얀마 전역에서 끊임없는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안보리 임기가 끝난 인도는 투표를 기권했습니다.
성명은 “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에 의해 비상사태가 선포된 지 2년 반이 넘었지만, 우리는 미얀마 상황과 미얀마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인권최고대표의 버마에 대한 최근 보고서는 군사 정권이 공격과 인구 밀집 지역에 대한 약탈을 통해 지속적으로 민간인들을 목표로 삼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표는 말했습니다.
토머스 그린필드 대사는 인권 이사회가 위임한 미얀마 독립 조사 기구의 유사한 보고서에서 “버마 군과 그 산하 민병대가 공중 폭격에 의한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적으로 또 불균형적인 공격을 포함해 증가하는 빈도로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버마 군사 지도자들은 쿠데타가 일어난 지 불과 두 달 만에 아세안 10개 회원국이 제시한 계획에 동의했습니다.
이 계획은 즉각적인 폭력 중단과 아세안 특사가 중재하는 모든 당사자 간의 대화를 요구했고, 이후 유엔 안보리는 버마의 폭력사태의 즉각적인 종식을 촉구하고, 임의로 억류된 죄수들의 석방을 요구하는 안보리 결의 2669호를 채택했습니다. 그러나 유엔에 따르면 이 결의안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토머스 그린필드 대사는 “이 정권의 끔찍한 만행은 중단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버마 군사 정권의 비타협적인 태도와 계속되는 인권 침해를 고려할 때 유엔 안보리가 결의안 2669호 이상의 행동을 해야 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토머스 그린필드 대사는 “우리는 평화와 민주적 통치 그리고 법치주의를 요구하는 버마 사람들과 함께 서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오르테가 정권에 인권 유린 책임 물어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미 국무부는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대통령과 로사리오 무리요 부통령 정권 하에서 시민의 자유를 무자비하게 탄압한 니카라과 관리 100여명을 제재했습니다. 또 이들의 미국 여행를 금지시켰습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시민 사회를 억압하고 시민 공간을 폐쇄하고 롤란도 알바레즈 주교를 비롯해 자유 시민 사회를 지지하는 용기 있는 개인들을 부당하게 구금한 관리들을 비난했습니다.
알바레즈 주교는 지난해 니카라과 정부의 가톨릭 라디오 방송국 폐쇄에 반대하며 정부의 인권 정책을 비판한 뒤 체포된 여러 사제 가운데 한 명입니다. 알바레즈 주교는 지난 2월 미국 망명을 거부했으며 그 후 정부를 음해하고 허위사실 유포 그리고 불복종 등의 혐의로 징역 26년을 선고받았습니다. 또 니카라과 시민권도 박탈당했다고 AP통신은 보도했습니다.
블링컨 국무장관은 과거 트위터로 알려진 X에 올린 글에서 “니카라과 정권은 알바레즈 주교와 부당하게 구금된 모든 사람들을 무조건 즉각 석방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번 추가 제재 조치는 오르테가 정권이 1960년 설립된 예수회가 운영하는 중앙아메리카 대학을 “테러의 중심지”라고 주장하며 압류한 지 며칠 만에 이뤄졌습니다.
이 조치후 대학은 재정 지원이 중단됐으며 학교 지도자들이 여행을 떠나면 재입국이 금지됐습니다.
“이번 몰수 조치로 오르테가 정부는 니카라과 사상의 자유를 끝냈다”고 2021년 강제 추방될 때까지 이 대학의 교수였던 마리아 아순시온 모레노는 말했습니다.
지난 2월 니카라과 정부는 자국민 94명의 국적을 박탈하고 구금에서 풀려난 정치범 222명의 시민권을 박탈했습니다. 그리고 6월 오르테가 정권은 그 222명의 야당 인사들의 재산을 몰수했습니다.
또 2018년 니카라과 보안군이 오르테가 정권의 억압적인 통치에 항의하며 발생한 대규모 거리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이후 수천 명이 해외로 망명했습니다.
블링컨 국무장관은 “니카라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사람들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국제 사회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니카라과 국민들의 기본적인 자유와 인권 존중을 증진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