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논평
"러시아 야권 지도자에 중형...정치적 동기 탄압"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러시아의 야권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가 3월22일 법원으로부터 징역 9년을 선고받았습니다.
미 국무부의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번 판결에 대해 “정치적 동기에서 비롯된 기소와 엉터리 혐의가 적용된 판결”이라고 비난했습니다.
미국은 그동안 러시아 당국에 대해 알렉세이 나발니를 즉각적으로 조건없이 석방할 것을 촉구해왔습니다.
러시아 법원이 나발니에 대해 장기간 징역형에 처한 것은 크림렌 당국이 그동안 해왔던 나발니에 대한 공격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나발니는 그동안 러시아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조해왔습니다.
지난 2020년 나발리는 러시아 정보당국으로부터 ‘노비촉’이라는 독극물 공격을 받아 사경을 헤맸습니다.
그후 독일에서 치료를 받아 목숨을 건진 나발니는 2021년 1월 러시아로 돌아오자마자 다시 체포돼 수감됐습니다.
나발니는 그동안 크렘린 당국이 표현의 자유를 탄압하는 것과 외국과의 자유로운 교류와 통신을 제한하는 것을 비판해왔습니다.
이같은 운동은 크렘린 당국이 야만적인 우크라이나 침공의 진실을 감추면서 한층 더 강화됐습니다.
러시아에서는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를 했다는 이유로 1만5천명 이상의 시민들이 2월 24일 이후 수감됐습니다.
러시아의 정보당국은 시민들이 독립적인 언론 매체와 소셜 미디어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했습니다. 또 언론인과 시민들이 우크라이나 침공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할 경우 이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나발니는 트위터를 통해 자신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감사를 표했습니다. 그는 “나와 다른 정치범들을 돕는 최선의 방법은 동정이나 말이 아니라 행동”이라며 “전쟁 범죄자이자 거짓과 사기를 치는 푸틴 정권에 대한 행동”을 촉구했습니다.
미 국무부의 프라이스 대변인은 “나발니의 경우는 크렘린 당국이 국제인권과 기본적인 자유를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러시아 헌법에 보장된 시민들의 권리를 뻔뻔하고 조직적으로 무시하는 한 사례에 불과하다”고 말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러시아 국민들이 크렘린의 잘못에 대한 국내외의 진실된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See all News Updates of the Day
북한 불법행위 제보자에 거액 포상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미국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즉 북한을 지원하는 개인과 단체의 금융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에게 최대 500만 달러의 현상금을 제공합니다.
북한은 국제적인 제재를 회피하고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개인과 단체들을 참여시켰습니다.
이들은 북한이 무기 수출, 자금 세탁, 마약 밀수 그리고 대량 살상 무기와 탄도 미사일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자재와 연료를 구매하는 것을 도왔습니다.
이들은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 외에도,제재를 회피하고, 북한의 노력은 개인의 부를 증가시키는 데까지 확장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북한에 자동차, 고급 의류, 보석, 향수 또는 다른 유사한 품목을 북한에 수출하는 개인 또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 보상금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들 품목들은 북한 정권의 특권층만을 위한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북한의 금, 티타늄 광석, 바나듐 광석, 구리, 은, 니켈, 아연 또는 희토류 광물과 같은 금속 수입과 수출도 유엔 제재를 위반하는 것입니다.
또한 우려되는 것은 북한의 심각한 인권 유린입니다.
북한의 인권 유린은 검열에서부터 정치범 수용소와 관리소의 강제 노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2014년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약 8만-12만명의 북한 사람들이 정치범 수용소에 구금되어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또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한 정보에도 관심이 있습니다. 북한은 랜섬웨어와 악성코드 사용을 포함한 갖가지 인터넷 범죄에 책임이 있습니다. 북한
해커들은 또한 정보와 디지털 화폐를 훔칠 목적으로 전 세계의 공공 및 민간 네트워크에 침입했습니다.
이러한 불법 행위에 연루된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왓스웹(Whatsapp) 또는 시그널, 텔레그램 +1202-702-7843으로 연락주십시오. 또 이전에 트위터로 알려졌던 X의 @RFJ_USA 계정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습니다.
모든 제공된 정보는 철저히 보호될 것입니다. 이 현상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rewardsforjustice.net 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미국, 온두라스와의 관계 강화 전념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온두라스와 미국은 여러 공동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고 에릭 제이콥스타인 국무부 중미 및 서반구 담당 차관보가 최근 의회 증언에서 말했습니다.
야콥스타인 부차관보는 2021년 온두라스의 시오마라 카스트로 대통령의 선출이 "부패와 민주적 역주행과 결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말했습니다.
[ACT 1: 0:17] “Honduras has committed to addressing corruption impunity, and President Castro has invited the
야콥스타인 부차관보는 “온두라스는 부정부패 사범 불처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카스트로 대통령은 유엔에 독립적인 반부패 위원회를 설립할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런 노력에 박수를 보내지만 유엔 지침에 따라 신속히 설립할 것을 촉구한다”며 “또 우리는 온두라스 정부가 부정부패를 조사하는 기존 조직에 예산을 지원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제이콥스타인 차관보는 "온두라스가 국내 난민 문제와 관련해 법안을 통과시킨 것과 (미국)과의 법 집행 노력에 협력한 것에 대해 찬사를 보낸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소토 카노 공군기지에 주둔하는 등 온두라스와 오랜 안보협력의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제이콥스타인 부차관보는 "우리는 온두라스와 이러한 협력이 계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온두라스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에서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ACT 2: 0:16] “The government states its foreign policy is to meet its international cooperation needs by opening the
제이콥스타인 부차관보는 “온두라스 정부의 외교 정책은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한 새로운 국가들에 대해 문호를 열어 국제 협력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외교적 인정이 주권적
결정이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우리는 중국이 외교적 인정에 대한 대가로 약속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 그 약속이 결국 이행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제와 관련해 미국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중미 포워드 계획’에 따라 추가 투자에 나설 계획입니다. 이 계획은 이미 42억 달러의 투자 약속과 북중미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제이콥스타인 차관보는 "향후 약속은 우호적인 투자와 기후 그리고 건전한 경제적 결정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온두라스의 인권 운동가들이 “폭력과 죽음의 위협 속에서 계속 활동하고 있다”고 제이콥스타인 부차관보는 말했습니다.
[ACT 3: 0:13] “We continue to call upon the government to protect activists like Miriam Miranda, Jose Ramiro Lara,
제이콥스타인 차관보는 “우리는 심각한 위협에 직면한 미리암 미란다, 호세 라미로 라라와 같은 활동가들을 보호하고 하로 보니야와 알리 도밍게즈와 같은 활동가 살해 사건에 대해 투명하고 신속한 조사를 완료할 것을 온두라스 정부에 계속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이콥스타인 부차관보는 "온두라스 상황은 복잡하지만 우리 두 나라의 문화적, 경제적, 가족적, 지리적 유대를 감안해 우리는 강력한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미국, 중국의 남중국해 위협 관련 동맹 필리핀 지지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지난 10월 22일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의 일부인 ‘세컨드 토마스 숄’(Second Thomas Shoal)에 있는 소규모 군사 기지에 가던 필리핀 보급선 1척과 해안경비대 소속 선박 1 척을 중국 선박이 고의로 충돌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중국 해안 경비대 선박이 비슷한 임무를 위해 가던 필리핀 보급선에 물대포를 사용한 지 불과 10주 만에 발생했습니다.
세컨드 토마스 숄은 320km 크기의 필리핀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 있으며 필리핀 대륙붕 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미국은 10월 22일 남중국해에서 제2의 토머스 숄로 재보급되는 필리핀의 임무를 방해하는 중화인민공화국 해안경비대와 해상 민병대의 위험하고 불법적인 행동과 관련 필리핀 동맹국과 함께 서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수십 년간 중화인민공화국, 즉 중국은 모호한 역사적 주장과 1947년에 출간된 지도 한 장을 근거로 남중국해 대부분이 자신들의 영해라고 주장해 왔습니다. 중국이 제시한 지도에는 11개의 짧은 선이 그려져 있었는데 이를 근거로 350만 평방km 크기의 남중국해 대부분을 자신의 영역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952년 중국은 북베트남에 대한 호의의 표시로 통킹만을 제외시키기 위해 두 개의 선을 지웠습니다.
2016년, 국제 중재재판소는 중국의 해양 청구권 중 많은 부분이 국제법 근거가 부족하다고 기각했습니다. 재판소는 “세컨드 토마스 숄 지역 해양 구역에 대한 중국의 권리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고 분명히 밝혔습니다.
분쟁 지역에는 ‘스카버러 숄’(Scarborough Shoal), ‘파라셀 제도’(Paracel Islands) 그리고 ‘스프래틀리 군도’(Spratly Archipalo)와 같은 수많은 무인도, 해안 그리고 수중 지형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 지역은 대규모 석유와 천연 가스 매장량이 풍부할뿐만 아니라 어로 환경이 좋은 곳입니다. 또 세계에서 가장 바쁜 해운 항로 중 하나입니다.
미 국무부는 성명에서 “10월 22일 중국의 안전하지 않은 행동과 8월 5일 필리핀 선박에 대한 중국의 물대포 발사는 남중국해에서 광범위하고 불법적인 해양 영유권 주장을 위한 중국의 도발적인 행동의 최신 사례”라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미국은 1951년 체결된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제4조가 남중국해 어디에서나 자국 해안경비대를 포함한 필리핀 군대, 공공 선박, 항공기에 대한 무력 공격으로 확대된다는 점을 재확인 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미국-독일 글로벌 파트너로 남아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최근 아날레나 베어보크 독일 외무장관과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금 이 순간 우리 국민들에게 중요한 모든 문제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파트너로 남아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독일의 두 외무장관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벌이고 있는 침략전쟁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독일은 미국에 이어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국가입니다.
[ACT 1 0:24] “We are both deeply committed to continuing the strong support that we and dozens of other countries
블링컨 장관은 “우리는 전세계 수십 개국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해 온 군사적, 경제적, 인도적 지원을 계속할 것을 굳게 약속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같은 지원은 영토를 더 빼앗으려는 공격에 대해 반격을 가하면서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경제 회복을 돕기 위해 미국은 독일, 유럽연합(EU), 주요 7개국(G7) 우방국과 긴밀히 협력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공 및 민간 부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페니 프리츠커 전 상무장관을 특별 대표로 임명했습니다.
블링컨 장관과 베어보크 외무장관은 또 흑해 곡물 계획 재개를 강력 촉구했습니다. 이 계획이 작동될 당시 우크라이나는 3천만t 이상의 곡물을 수출할 수 있었습니다.
[ACT 2 0:21] “The people who are suffering the most are in developing countries. Greater food scarcity, rising prices
블링컨 장관은 “가장 큰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개발도상국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더 많은 식량 부족, 우크라이나로부터 직접 식량을 구입하지 않는 국가들의 식량 가격 상승 그리고 흑해 곡물 계획에 따라 우크라이나에서 나오는 곡물 대부분은 개발도상국으로
향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물론 우리는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을 위한 대체 경로를 계속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미국과 독일은 중국에 대한 접근법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ACT 3 0:14] “Both of us, among other things, share the goal when it comes to our economic relationships of
블링컨 장관은 “우리 두 나라는 무엇보다 경제관계에서 ‘디커플링’이 아니라 위험을 줄이는 ‘디리스킹’ 이라는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또 평화와 안정에 대한 지지하며 타이완은 물론 이 지역 전체에 걸쳐 현상황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일치된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독일은 여전히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중요한 동맹국이며 동맹 역량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앞으로도 계속 독일과 상호 호혜적인 관계가 지속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미국, 소말리아 안정화 노력 지원 전념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소말리아는 광범위한 굶주림, 알샤바브 테러리스트 집단의 계속되는 위협, 그리고 라스카누드에서 계속되는 폭력을 포함한 심각한 문제들로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소식도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는 소말리아의 미래에 좋은 신호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르면 소말리아 당국은 외채를 52억 달러에서 6억 달러로 대폭 줄이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소말리아 국가협의회가 지난 5월 제안한 4개의 선거제도 제안에 대해 활발한 논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섯 차례의 가뭄에 이어 마침내 장마철이 돌아왔습니다.
마침내, 8월초 정부군이 소탕작전을 펼쳐 무장조직 알샤바브를 몰아냈습니다. 정부군은 히이란, 미들샤벨, 무두그 지역의 무장세력을 몰아내면서 몇 가지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로버트 우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미국은 소말리아 연방정부와 아프리카연합이 알샤바브의 위협에 대처함으로써 소말리아와 동아프리카의 평화와 안정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고무됐다”고 말했습니다.
[ACT 1: 0:14] “We welcome the progress made by Somali forces in freeing communities from al-Shabaab control in
우드 대사는 “우리는 소말리아 정부군이 히라 지역의 알샤바브 통제로부터 마을을 해방시키는데 있어 이룬 진전을 환영한다”며 “특히 지역 통치를 강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해방된 지역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격려한다”고 말했습니다.
우드 대사는 “그러나 미국은 갈마두그 지역의 최근 안보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며 "이 같은 사태는 실현 가능하고 목표와 일정 그리고 지원 요건을 갖춘 안보 전환 계획을 확정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ACT 2: 0:18] “The United States remains committed to supporting the efforts of Somalia and the AU to build up
우드 대사는 “미국은 소말리아와 아프리카 연합(AU)의 소말리아 안보 분야 역량 강화 노력과 안정화 노력을 지지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런 과정이 국제적인 조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파트너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마침내 소말리아에 장마철이 돌아왔지만 인도주의적인 상황은 여전히 심각합니다.
우드 대사는 “인도주의적인 측면에서 우리는 소말리아의 극심한 가뭄 사태를 다루기 위해 함께 모여야만 한다”고 말했습니다.
[ACT 3: 0:12] “The United States remains committed to helping Somalia address this crisis, including through the
우드 대사는 “미국은 올해 7억 5천만 달러 이상의 인도적 지원을 포함해 소말리아의 위기 해결을 돕는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소말리아에 가장 큰 인도적 지원국이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우드 대사는 “미국은 소말리아 국민들을 강력하게 지지하며, 민주주의, 평화, 안정을 증진시키는 데 헌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소말리아 국민들을 위해 더 밝은 미래를 건설하기 위해 소말리아 그리고 국제적인 파트너들과 계속해서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