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ssibility links

Breaking News

미 정부 논평

"러시아, 우크라이나 민간 시설 공격에 이란 무인기 이용"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러시아가 이란이 만든 자살폭탄 무인기, 드론을 활용해 우크라이도 도시를 공격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공격으로 민간인들이 숨지고 주거지, 발전소, 하수처리장, 다리, 놀이터 등이 파괴되고 있습니다.

베단트 파텔 국무부 부대변인은 "러시아의 이란과의 동맹관계는 전세계, 특히 이 지역 국가들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문제와 관련 미국, 영국, 프랑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이란의 무인기 제공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231호를 위반해 이란으로부터 무인기(UAV)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미국은 지난 7월 이란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잔혹한 전쟁을 위해 러시아에 무인기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경고했다”며 "현재 우리는 무인기가 우크라이나 민간인과 중요한 민간 시설을 공격하는데 사용되고 있다는 충분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말했습니다.

무인기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상당한 역할을 했지만 올 여름부터 사용이 부쩍 늘었습니다. 그러나 이란은 관련 증거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 대한 무인기 공급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네이트 에반스 유엔 주재 미국대표부 대변인은 "러시아가 민간인과 중요한 민간 기반시설을 포함한 우크라이나 국민에 대한 잔인하고 계획적인 공격에 이란제 무인항공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해 이 무기들을 조달함으로써 우크라이나에 대한 분별없고 잔인한 전쟁을 하면서 국제법을 계속 무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란이 우크라이나에서 사용하기 위해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계속 거짓말하고 부인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은 러시아에 위험한 무기가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동맹국, 우방국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같은 무기 공급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제재와 다른 조치를 취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미국은 또 우크라이나가 이같은 무기들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도록 방공능력을 포함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례 없는 안보 지원을 계속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See all News Updates of the Day

US스틸은 미국 기업으로 남아야 한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국가 안보 우려를 이유로 피츠버그에 본사를 둔 ‘US 스틸’이 일본 신일본제철에 매각되는 것을 불허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1월 3일 발표한 성명에서 “미국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강력한 철강 산업은 필수적인 국가 안보 목표이며 탄력적인 공급망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행정부 전반의 국가 안보와 무역 전문가로 구성된 대미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가 미국 국가 안보와 중요 공급망에 대한 위험 가능성을 제기한 후 신일본제철의 제안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국익을 위해 계속 경쟁을 주도하려면 미국 철강 생산 능력의 주요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미국 기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US 스틸’을 “자랑스러운 미국 기업”으로 지키기로 결정한 바이든 대통령의 핵심 요소로 중화인민공화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지적했습니다.

“As foreign competitors like China distort global steel markets through unfair trade practices, such…”
카린 장 피에르 대변인은 “중국과 같은 외국 경쟁자들이 덤핑과 과잉 생산 등 불공정 거래 관행을 통해 세계 철강 시장을 왜곡하는 만큼, 우리의 국가 안보와 공급망을 보호하는 강력한 국내 철강 산업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 대통령은 미국의 안보와 공급망을 지키기 위해 항상 행동할 것임을 다시 한 번 보여주었다”고 말했습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미국 철강의 신일본제철 매각을 불허한 대통령의 결정이 “일본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미국 철강 제조와 미국 최대 철강 생산업체 중 하나를 미국 소유의 회사로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가 일본과 맺고 있는 특별하고 긴밀한 관계와 동맹에 관한 것이 아니”라며 “대통령은 여러 차례 일본 지도자들에게 그렇게 말하고 분명히 밝혔다”고 설명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에서 “지금, 그리고 먼 미래에도 미국이 국내에 소유하고 운영하는 강력한 철강 산업을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통령으로서 나의 엄숙한 책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의 이 결정은 미국 국가 안보를 수호하기 위해 대통령으로서 나에게 제공되는 모든 권한을 활용하겠다는 나의 확고한 의지를 반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유엔은 북한의 불법 미사일 발사를 최대 용어로 규탄해야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미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즉, 북한의 1월 6일 중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를 가능한 한 강력한 용어로 규탄합니다.

“북한이 불법 탄도 미사일 발사를 처벌받지 않고 감행하는 이유는 전혀 미스테리가 아니”라고 도로시 시아 유엔 주재 미국 대표부 차석 대사가 말했습니다.

“For the past two years Russia and China have muzzled this Council from acting. In March, Russia ended the mandate of the 1718 Committee Panel of…”

도로시 시아 대사는 “지난 2년간 러시아와 중국은 유엔 안보리의 행동을 방해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해 “3월 러시아는 안보리 대북 제재 1718 위원회 전문가 패널 임무를 거부권을 사용해 종료시켰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러시아와 중국은 또 북한의 10월 ICBM 발사가 여러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간단하고 사실적인 언론 성명을 막았다”고 말했습니다.

시아 대사는 이러한 움직임은 러시아와 북한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지속적으로 군사 협력을 하고 있는 것과 일치한다고 말했습니다.

“Since December 2023, the DPRK has transferred over 20,000 shipping containers of munitions to date, containing at least six million heavy artillery…”

시아 대사는 “2023년 12월 이후, 북한은 현재까지 2만개 이상의 군수품이 담긴 컨테이너를 러시아로 보냈는데 여기에는 최소 600만 발의 포탄과 100발 이상의 탄도 미사일이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 미사일들은 이후 우크라이나로 발사돼 키이우와 자포리자와 같은 민간 인프라와 인구 밀집 지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시아 대사는 현재 러시아는 병력과 군수품을 구하기 위해 북한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미 1만2천명 이상의 북한 병력이 러시아에 파병됐다고 말했습니다.

“Since December of 2024, we have seen DPRK troops join in the fighting in Kursk, marking the first…”
시아 대사는 “2024년 12월 이후 북한군이 쿠르스크 전투에 참여했는데, 이는 북한이 70년 만에 처음으로 대규모 전투에 참여한 것이며 또 한반도를 벗어나 전투를 벌인 것도 처음”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자국 영토에 외국군을 군사 작전에 참여시킨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이라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에 대한 지원의 대가로 러시아는 방공 시스템을 북한에 이전했습니다. 시아 대사는 “우리는 특히 모스크바가 평양과 인공위성과 우주 기술과 공유하려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행동에도 불구하고 시아 대사는 “우리는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돌아와 의미 있는 대화를 가질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시아 대사는 또 모든 유엔 안보리 회원국에게 북한의 불안정한 행동을 비난하고, 안보리 의무를 이행하며, 불법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북한의 조달 활동과 자금 흐름을 막기 위해 협력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약체’된 이란, 국민 억압은 계속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최근 “이란에게 올해는 좋은 해가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란의 주요 앞잡이인 헤즈볼라와 하마스가 파괴되었습니다. 또 가까운 우방인 시리아의 아사드 정권이 붕괴되었습니다. 이란의 미사일은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또 많은 방공망이 파괴되었습니다.

약해지긴 했지만, 이란 정권은 여전히 이란 국민들, 특히 반대 의견을 표명하거나 정확한 뉴스와 정보를 제공한 사람들에게 강력하고 억압적인 손을 휘두르고 있습니다.

한가지 예로, 12월에 미국-이란 이중 국적 언론인인 ‘레자 발리자데’가 "적대 정부와 협력했다"는 혐의로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발리자데는 미국이 자금을 지원하는 ‘라디오 파르다’ ‘라디오 프리 유럽/라디오 리버티’ 방송국, 그리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국에서 일했습니다. 그는 2022년에 그곳을 떠나 다양한 파르시어 방송국에서 일했습니다. 발리자데는 2024년 2월 가족을 방문하기 위해 이란으로 돌아갔으며, 9월 말에 체포되었습니다. 11월에 열린 두 차례의 재판에서 검찰 대리인이 출석하지 않았고, 그 대신 판사가 그 역할을 맡았습니다.

발리자데는 10년간의 징역형 외에도 2년의 출국 금지와 기타 처벌을 받았습니다. 현재 그는 에빈 감옥에 수감되어 있으며 면회권이 거부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발리자데의 형량을 강력히 비난하며 그를 "즉각 석방하고 또 이란 내 모든 정치범을 석방하라"고 촉구했습니다.

“The Iranian Government has repeatedly suppressed press freedom through threats, intimidation…”
밀러 대변인은 “이란 정부는 위협, 협박, 구금, 강제 자백 그리고 이란 내 언론인에 대해 폭력을 휘둘러 언론의 자유를 반복적으로 탄압했다”고 말했습니다.

국제 언론 단체인 ‘국경없는기자회’가 발표한 2024년 언론자유지수는 평가 대상 180개국 중 이란을 176위로 평가했습니다. 이 평가에 따르면 이란은 언론의 자유 측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국가 중 하나라는 자리를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밀러 대변인은 최근 이란이 일 년 중 가장 긴 밤을 기념하는 고대 축제 ‘샤브에 얄다’를 계기로 성명을 내면서 “샤브에 얄다 축제를 맞아 우리는 이란 국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억압에 맞서 싸운 그들의 용기와 변함없는 자유 추구는 세계에 영감을 준다”며 “우리는 더 밝은 미래의 새벽이 올 것을 알고 그들의 투쟁에 함께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러시아는 인권 옹호자인 알렉세이 고리노프를 석방하라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러시아의 한 시민이 묵념을 하자는 요청으로 인해 러시아 정부의 탄압을 받고 있습니다.

2022년 3월 모스크바 시의회 회의에서 시의원이자 인권 옹호자인 알렉세이 고리노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사망한 어린이와 다른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잠시 묵념을 드리자고 말했습니다. 몇 주 후, 고리노프는 러시아의 전쟁 검열법에 따라 체포된 최초의 인물이 되었습니다. 우선, 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특수 군사 작전”이 아닌 “전쟁”이라고 부른 혐의를 받았습니다.

2022년 7월, 고리노프는 러시아 군대에 대한 허위 정보를 유포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러시아 판사 올레샤 멘델레예바는 고리노프에게 징역 7년을 선고했습니다.

12월 31일, 미국은 고리노프의 자의적 구금에 관여한 올레샤 멘델레예바에게 제재를 가했습니다. 만델레예바는 전 세계 심각한 인권 침해와 가해자에 대한 ‘글로벌 마그니츠키’ 제재 프로그램에 따라 제재 명단에 올랐습니다.

미 재무부는 제재를 발표하는 성명에서 고리노프의 재판에서 길고 가혹한 판결로 유명한 멘델레예바가 “방어 증인의 증언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감옥에 수감되지 않으면 고리노프의 ‘개혁’이 불가능할 것으로 전제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재무부는 고리노프가 구금 중 신체적 학대와 의료 치료가 거부됐다고 말했습니다.

브래들리 스미스 미국 테러 및 금융정보 담당 차관 대행은 성명에서 “러시아의 법률 시스템 조작은 반대 의견을 침묵시키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방어할 수 없는 전쟁에 대한 진실을 질식시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 국무부의 매튜 밀러 대변인은 별도 성명에서 “미국은 자국에서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러시아 당국의 위협, 폭력, 보복, 투옥에 직면한 러시아 국민들과 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고리노프의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석방과 러시아 연방이 임의로 구금한 다른 모든 사람들의 석방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러시아 연방의 심각한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미국의 인권 지원 강화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입니다. 우즈라 제야 미 국무부 차관은 최근 국제 인권상 시상식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외교 정책에서 인권을 우선시했다고 말했습니다.”

“We’ve delivered important progress and innovations that will leave a lasting legacy on human rights…”
제야 차관은 “(우리는) 전 세계 인권에 지속적인 유산을 남길 중요한 진전과 혁신을 이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기에는 글로벌 기관을 활용해 미국의 인권 우선순위를 해결하고, 유엔 기구인 인권이사회와 같은 기구에 복귀하며, 신흥 파트너들과의 새로운 관계 구축이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그 결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활동이 중단됐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발전시키기 위한 최초의 유엔 총회 결의안에 대한 전 세계적인 합의를 도출하는 등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제야 차관은 “우리는 또 유럽 이사회에서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조약을 체결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조약은 인권 존중, 민주주의 그리고 법치주의에 따라 인권을 존중하는 정부가 인공지능(AI)에 접근하는 방식에 대한 공통된 비전을 정의한다”고 제야 차관은 말했습니다.

“우리는 또 인권 침해자들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새롭고 다양한 수단을 동원했다”고 제야 차관은 말했습니다.

“We expanded our toolkit with the strategic goal of changing behavior and deterring would-be violators.…”
제야 차관은 “우리는 인권을 유린하는 사람들의 행태를 변화시키고 위반자가 될 가능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확대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 상무부와 재무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민간기업인 ‘인텔렉사’, ‘싸이트록스’ 등과 같은 상업용 스파이웨어 공급업체에 대해 인권을 억압하는 악의적인 사이버 프로그램을 판매한 책임을 묻기 위해 수출 통제와 제재를 가했다”고 말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상업용 스파이웨어를 오용하거나 이 기술로 금전적 이익을 얻는 개인과 그 가족에게 비자 제한을 가해 이러한 노력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미국은 새로운 위협에 정면으로 대처했다고 제야 차관이 강조했습니다.

“We’ve put transnational repression, or TNR, on the agenda of the UN and instituted a new policy at home to restrict…”
제야 차관은 “우리는 초국가적 억압(TNR)을 유엔의 의제로 삼고 가해자의 비자를 제한하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또 부패를 폭로하기 위해 노력하는 언론인을 포함하여 부패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변호사들에게 1천600만 달러 이상의 적극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전 세계 인권을 지속적으로 옹호하고 증진할 것입니다.

미국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는 논평이었습니다. 이에 관한 의견이 있으신 분은 영문 또는 한글로 편지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 주소는 Editorials, Voice of America, 330 Independence Ave, SW, Washington, DC 20237 입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www.voanews.com/editorials 입니다.

Load more

XS
SM
MD
LG